(* 현재 코드스테이츠에서 운영중인 부트캠프는 K-디지털 트레이닝으로, We Win 소득공유 방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본인의 상황을 솔직하게 알려주세요.
수강생이 포기하지 않으면 코드스테이츠도 포기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취업이 되지 않거나 다른 사유로 인해 취업을 하지 않는다면 코드스테이츠와 추가 논의를 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구직 활동에도 취업이 되지 않는 경우
- 구직 활동에 대한 증빙 서류를 제출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잡 포털에서 구직 활동을 한 내역 등으로 구직 활동에 대한 증명을 하셔야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득 공유 기간 내에 구직이 되지 않으면 소득 공유 의무는 종료됩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소득 공유 기간이 72개월(=6년)인데, 수강생을 위해 이런 경우는 없어야겠죠? :)
자기 계발 목적으로 코스를 수강한 경우
- 해당 경우에도 We Win으로 수강 시 소득 공유 의무가 발생합니다.
취업이 목표가 아닌 자기 계발 목적으로 We Win으로 과정을 수강하고, 수료 후에 전(현) 직장에서 계속 근무하거나 이직하는 경우도 소득 공유 제도 계약서 조항에 따라 소득 공유 의무가 발생합니다.
수료 후 별도의 계획이 있는 경우
- We Win으로 과정을 수료 후 창업을 계획하고 있는 상황
이런 경우, We Win 지원 단계에서 창업 의사를 밝혀주셔야 합니다. 코드스테이츠가 사업성을 평가 후 선발 결정을 합니다. 그러나 취업을 목표였다가 창업으로 목표가 변경되었을 경우, 위약금 지불과 같은 소득 공유 의무에 대한 조항 실행을 요구하거나 조정할 수 있습니다.
수료 후 다른 계획이 있다면 반드시 코드스테이츠에 알려야 하며, 심사 후 참가동의서 및 교육 투자 약정서 조항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